본문 바로가기
캘리그라피

[캘리그라피] 보기좋은 글씨의 구도 -2

by 써니캘리 2022. 10. 31.
반응형

캘리그라피 구도 연습

 

캘리그래피를 할 때 두 줄 이상의 글씨를 쓰게 되는 경우

문장의 두 번째 줄부터는 어떻게 써야 할지 난감하셨던 경우 있으신가요? 

문장의 첫째 줄 글씨들의 크기와 높낮이에 따라 두 번째 줄에 오는 글씨들이 들어갈 공간이 들쑥날쑥하게 되지요.

그래서 공간 활용을 잘못하게 되면 위아래의 글씨가 서로 부딪히게 되거나 어색한 공백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보기좋은 글씨를 위한 구도 연습방법 7가지를 알려드릴게요.

 

1.줄 간격에 여유를 두고 써보세요.

캘리그래피를 할 때에 윗 줄과 아랫줄 사이에 보이지 않는 수평의 줄이 있다고 생각하고 간격을 두고 가지런히 써 봅니다. 그러면 윗줄에서 쓴 글씨의 크기나 높낮이가  만들어 낸 불규칙한 공간들을 고려하지 않고 조금은 더 편하게 문장을 완성할 수 있어요. 이렇게 쓴다면 줄 간격에 여유가 있기 때문에 안정적이며 편안해 보입니다. 하지만 이 경우 시각적인 아름다움보다는 단지 의미 전달의 목적에만 충실한 느낌을 줄 수 있답니다. 그러므로 가독성과 의미 전달이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경우에 적절한 표현이라고 하겠습니다.

                                                                      

2. 두 줄의 문장을 쓸 때, 위아래 공백을 최소화해 보세요.

캘리그래피로 두 줄의 문장을 쓸 때 첫째 줄은 아래 정렬을 하여 쓰고, 두 번째 줄은 윗줄 정렬로 쓴다면 윗 줄과 아랫줄 사이의 불필요한 공백이 나오지 않는 깔끔한 문장의 구도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3. 아래줄을 쓸 때, 윗줄 글씨의 가장자리 정렬로 써보세요.

캘리그래피를 할 때 첫째 줄은 글씨의 크기나 높낮이를 자유롭게 써준 후, 두 번째 줄부터는 윗줄에 있는 글씨의 아래선의 높낮이에 맞게 윗줄 글씨의 가장자리에 맞춰서  정렬을 해 봅니다. 이렇게 맞춘 정렬은 글씨가 들어갈 공간의 위쪽 라인의 굴곡에 맞춰서 글씨의 위치, 크기, 선의 길이를 조절해 줍니다.

문장이 길어지더라도 새로운 줄은 항상 윗줄의 라인에 맞춰서 캘리그래피를 하면 됩니다.

 

 

 

4. 첫 글자의 시작 지점을 잘 선택하세요.

캘리그래피를 할 때에 글씨를 보다 짜임새 있게 쓰기 위해서는 윗줄이 만들어 놓은 들쑥날쑥한 공간을 충분히 활용해야 합니다. 윗줄이 만들어 준 그릇에 아랫줄을 조화롭고 예쁘게 담을 수 있도록 많은 문장 쓰기 연습을 통해 시행착오를 겪으며 요령을 터득해야 합니다.

그 요령 중 하나는 새로운 줄을 쓸 때마다 첫 글자의 시작 지점을 잘 선택하는 것입니다.

새로운 줄을 쓸 때마다 가장 키가 큰 글자가 가장 여유 있는 공간에 위치하도록 미리 생각하여 첫 글자의 시작 지점을 잘 선택해야 합니다. 키가 큰 글자끼리는 위아래로 바로 만나지 않고, 서로 비켜서 쓸 수 있도록 합니다. 큰 글자끼리 부딪히면서 균형이 깨져 보일 수 있기 때문이에요. 큰 글자는 글자 사이의 쏙 들어간 공백에 위치해야 가장 자연스러워 보인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이렇듯 캘리그래피에서 하나의 균형 있는 구도의 문장을 쓰기 위해서는 여러 번 쓰면서 시행착오를 거쳐야 합니다. 글씨를 쓸 때에는 본인이 쓰려는 글자 수를 미리 파악한 뒤, 첫 글자를 최적의 위치에서 시작하도록 연습해야 합니다.

 

5. 글줄의 가장자리 공간을  활용해 보세요.

캘리그래피를 할 때에 두 줄 이상의 문장을 쓸 때는 글씨를 쓴 줄들이 꼭 수평을 유지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글씨의 전체의 모습이 조화를 이룬다면 가독성이 깨지지 않는 선에서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합니다. 또한 자유로운 짜임새는 문장의 구도를 더욱 재미있게 만들어 줍니다.

주요 단어의 크기를 크게 강조하고 싶을 때, 가능하면 글 줄의 중간에서 크게 쓰는 것보다는 문장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장의 왼쪽, 오른쪽, 위, 아래의 공간은 자유롭게 확장이 가능해 글자들이 뻗어 나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문장의 가장자리에 주요 단어를 배치하면 획의 길이를 길게 표현하거나 크기를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글씨를 멋 내기에 좋습니다.

6. 글씨의 조화를 위해 그림과 낙관을 활용할 수 있어요.

캘리그래피에서의 그림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문장에서 어색한 공백을 채워 주거나 균형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글씨의 균형을 그림에만 의존해서는 안 됩니다. 가능한 글씨만으로 완성된 구도를 만들 수 있도록 연습한 후에 그림은 글씨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만 그치도록 절제해서 사용하도록 합니다. 캘리그래피에 들어가는 그림은 마카, 색연필, 물감, 컬러 붓펜, 컬러 수성펜 중 본인에게 편한 도구를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그림뿐 아니라 낙관도 캘리그래피의 균형을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낙관은 작품의 한 구성 성분이 되어 구도를 안정되게 해 주고 캘리그래피의 분위기를 돋우는 역할도 할 수 있으니 적절히 활용하면 좋습니다.

 

7. 헤드카피와 서브 카피로 구분하여 써 보세요

캘리그래피도 결국은 디자인입니다. 디자인이란 것은 크고 작은 것, 강하고 약한 것이 함께 조화를 이루어야 리듬감과 함께 균형을 이루게 됩니다. 그러면 보기에도 좋은 작품이 탄생하게 되는 것이지요.

캘리그래피를 할 때에는 같은 문장 안에서도 강조하고 싶은 비중이 큰 단어는 크기도 크게, 비중이 작은 가벼운 단어나 단어 옆에 붙는 의미가 없는 조사는 작게 씁니다.

헤드카피와 서브 카피로 구분하는 것도 좋습니다. 강조가 되어야 하는 부분은 헤드카피로, 헤드카피를 보완하며 추가 설명을 해 주는 부분은 서브 카피로 구분해서 쓰는 것입니다. 큰 글씨와 작은 글씨가 조화를 이루면 글씨의 완성도를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작은 글씨는 큰 글씨를 돋보이게 해 줄 뿐 아니라 큰 글씨가 다른 그림이나 이미지 요소에 잘 어울릴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서브 카피는 헤드카피보다 더 작거나 얇은 필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더 작고 얇은 붓펜이나 딥펜, 라이너 펜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캘리그래피] 보기좋은 글씨의 구도 1

캘리그래피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글자를 이루고, 글자와 글자가 만나 하나의 단어나 문장을 이루게 됩니다. 우리는 글자의 크기와 모양, 각도, 배치에 따라 수많은 덩어리의 짜임새를 만들

sunny-calli.com

 

 

[캘리그래피] 보기좋은 글씨의 구도-3

보기 좋은 캘리그래피의 구도 3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구도 표현 시 주의사항에 대해 이야기해 볼게요. 1. 사선의 흐름이 세 줄을 초과하지 않게 쓰세요 긴 문장을 캘리그래피 할 때 전체 문장

sunny-calli.com

 

반응형

댓글